술잔의 규칙 – 각국의 제례용 술잔 문화 비교
술을 마시는 그릇, 술잔. 그냥 작은 컵일 뿐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각 나라의 전통 의례에서 술잔은 단지 도구가 아닌 ‘의미를 담는 그릇’이었습니다. 누가 마시고, 어떻게 마시고, 어떤 잔에 담는지가 의식의 무게와 질서를 결정했죠. 이번 글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 주요 문화권에서 사용된 ‘제례용 술잔’을 중심으로, 술잔이 어떻게 예법과 상징성을 품어 왔는지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한국 – 제사상에 오른 술잔, 형식보다 깊은 뜻한국 전통에서 술잔은 제사상에서 가장 먼저 자리를 차지합니다. 작고 얇은 백자 또는 유기(놋쇠)로 만든 잔은 조상에게 드리는 첫 인사의 상징입니다. ‘홀수 번 따르기’라는 예법에 따라 1번, 3번, 5번 잔을 따르며, 이는 생명의 양(陽)을 상징하는 수로, 조상에게 ..
2025. 4. 15.
티벳의 발효 우유주 '창' – 종교와 함께하는 발효
불교는 금주를 권장하는 종교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그 뿌리가 깊은 지역 문화와 만나면 이야기는 조금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예가 티벳입니다. 이 고산 지대에서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창(Chang)’이라는 발효 우유주를 만들어 마셔 왔고, 단순히 일상 음료를 넘어서 종교적·의례적 의미까지 부여해 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창’이라는 술이 어떻게 티벳 불교와 공존하며, 삶과 신앙, 발효가 하나로 연결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창(Chang)이란 무엇인가 – 고산지대의 생존이 만든 술‘창’은 티벳, 네팔, 부탄 등 히말라야 고산지대에서 널리 마시는 전통 발효주입니다. 지역에 따라 ‘통바(Tongba)’, ‘치앙’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주로 보리, 수수, 기장, 우유, 때로는 야크 우유까지 발효..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