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

술에 담긴 금기 (종교, 젠더, 계급과 직업) 술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이자, 동시에 가장 복잡한 금기 중 하나였습니다. 누구나 마시는 것 같지만, 사실 술은 언제나 ‘누구는 마셔도 되고, 누구는 마시면 안 되는 것’으로 구분되어 왔습니다. 마시는 행위 자체보다, 누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이유로 금지당했는가가 더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술에 얽힌 금기의 문화적 맥락과 의미를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해보려 합니다.종교의 금기 – 술을 통해 드러나는 신과 인간의 거리종교는 술에 대한 금기를 규정하는 대표적인 힘이었습니다. 종교는 인간의 욕망을 절제하고, 신성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가’를 정합니다. 술은 인간의 의식을 흐리고 도덕적 판단을 약화시키는 물질로 간주되어 왔고,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종교에.. 2025. 4. 18.
술이 사라진 제례 (불교, 기독교, 이슬람) 술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의례용 음료 중 하나입니다. 제사에서 조상에게 올리고, 종교 의식에서 신과 인간을 잇는 매개체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많은 종교에서는 술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제한하고 있습니다. 금주의 교리, 사회적 가치관 변화, 건강 이슈, 대중 문화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술은 더 이상 종교의 중심에 있지 않게 되었고, 이로 인해 각 종교와 지역 사회에서는 끊임없는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종교 전통에서 술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리고 현대 사회 속에서 제례와 술의 관계가 어떻게 재해석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려 합니다.불교와 술 – 금주의 계율과 의식 사이의 균형불교는 오계(五戒) 중 다섯 번째로 ‘불음주계(不飲酒戒)’를 명시하며 .. 2025. 4. 18.
축제와 술 – 고대 향연에서 현대 페스티벌까지 술과 축제는 인류 문명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늘 함께였습니다. 수확의 기쁨을 나누기 위해, 신에게 감사를 전하기 위해, 혹은 단순히 사람들 사이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사람들은 술을 들고 축제의 장으로 모였습니다. 고대의 향연에서부터 현대의 뮤직 페스티벌에 이르기까지, 술은 단지 마시는 것이 아닌 축제의 ‘언어’이자 분위기, 그리고 문화의 상징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대와 지역을 넘나드는 축제와 술의 관계를 통해, 그 변화와 본질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고대 향연의 술 – 신을 위한 제사에서 인간의 즐거움으로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축제는 대부분 종교 의례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엔 술이 있었습니다. 고대 수메르와 바빌로니아의 신전에서는 술을 신에게 바치고, 제사 후 남은 술을 사람들이 나.. 2025. 4. 17.
일본의 ‘사케 신사제’ – 신에게 올리는 쌀의 귀환 일본의 사케(酒)는 단순한 술이 아닙니다. 그것은 쌀로 빚은 정성과 자연의 흐름이 담긴 액체이며, 때로는 신이 머무는 정결한 장소입니다. 특히 신사에서 열리는 제사(祭, 마츠리)에서는 이 사케가 단순한 음료가 아닌 ‘신에게 돌아가는 쌀’, 즉 인간이 받은 축복을 다시 신에게 되돌려드리는 순환의 상징으로 쓰입니다. 오늘은 ‘사케 신사제’를 통해, 술이라는 액체에 담긴 일본인의 신앙과 철학, 그리고 농경 사회의 정서를 함께 들여다보겠습니다.신도(神道)의 제례와 사케 – 술은 신과 인간의 다리일본의 전통 종교인 신도(神道)는 ‘자연을 신으로 섬기는 믿음’입니다. 하늘, 땅, 산, 강, 나무, 바위까지 모든 자연에 ‘카미(神, 신령)’가 깃든다고 믿으며, 인간은 그 카미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존재로 여겨집니.. 2025. 4. 17.
중국의 ‘주례’ 문화 – 술로 맺는 인연의 의식 “한 잔 술로 천생연분이 되다.” 중국에서는 아주 오래전부터 술이 단순한 음료가 아니라, ‘인연을 맺는 신성한 도구’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혼례에서의 술은 남녀가 부부로 맺어지는 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단지 마시는 것이 아니라 관계의 성립, 공동체의 인정, 하늘과 땅의 증언을 의미하는 의례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중국의 전통 혼례문화 중 ‘주례(酒禮)’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 상징성과 변화, 그리고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의미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술로 맺는 인연 – 중국 전통 혼례 속 ‘합근주’와 ‘교배주’중국의 전통 혼례는 매우 체계적이고 상징적인 절차를 따릅니다. ‘육례(六禮)’라 불리는 혼례의 기본 틀은 납채(納采), 문명(問名), 납길(納吉), 납징(納徵), 청기(請期), 친영(親.. 2025. 4. 16.
유럽 왕실의 술잔 – 금잔과 은잔의 상징성 찬란하게 반짝이는 금빛 술잔, 무게감 있는 은제 잔. 유럽 왕실의 연회나 의식 장면을 떠올리면, 이런 술잔이 자연스럽게 연상됩니다. 그런데 단순히 아름다움을 위해 이런 잔을 사용했던 것일까요? 사실 그 안에는 신분과 권위, 권력, 그리고 종교적 상징까지, 복잡하고도 정교한 의미가 담겨 있었습니다. 오늘은 ‘은잔과 금잔’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유럽 왕실에서 술잔이 어떤 존재였는지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금잔은 신의 권위, 왕의 자격유럽 중세와 근세의 왕실에서는 금잔(Golden goblet)이 단순한 음용 도구가 아닌 권위의 상징으로 기능했습니다. 금은 오랜 시간 변하지 않는 금속으로, 영속성, 불멸, 신성함을 상징하며, 이는 곧 왕권과 연결되었습니다.왕이 사용하는 금잔은 단순한 장신구가 아니라, ‘하나.. 2025.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