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우리 집 평균 소득이 얼마인지 아시나요?”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청년지원 등 다양한 복지제도의 기준이 되는데요.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않으려면, 중위소득 100% 금액부터 정확히 알아두세요!
1. 기준중위소득 100% 금액
“중위소득 100%”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앙 값(중간 가구)의 평균 소득을 의미합니다.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주거·교육·의료 지원 등 대부분의 복지제도는 이 기준을 활용해 수혜 대상을 정합니다.
따라서, 내 가구의 중위소득 100% 금액 확인은 사전 자격 체크의 핵심입니다.
2. 2025년 중위소득 100% 금액표 📊
2025년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르면, 기준중위소득 100%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7인 |
기준중위소득 100% | 2,392,013원 | 3,932,658원 | 5,025,353원 | 6,097,773원 | 7,108,192원 | 8,064,805원 | 8,988,428원 |
※ 8인 이상 가구는 7인 기준 + 6인과 7인 차액(≈923,623원)씩 더하여 산정됩니다.
3. 2024→2025 인상률 분석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2024년에 비해 **전국 평균 약 6.4% 상승했습니다.
- 1인 가구: 2,228,445원 → 2,392,013원 (↑7.34%)
- 4인 가구: 5,729,913원 → 6,097,773원 (↑6.42%)
이는 2015년 맞춤형 급여체계 도입 이후 역대 최대 인상폭으로, 복지 대상이 확대되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
4. 활용되는 주요 복지제도
기준중위소득은 복지제도 수급 여부 판단 시 핵심 기준입니다:
-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이하
- 의료급여: 40% 이하
- 주거급여: 48% 이하
- 교육급여: 50% 이하
- 긴급복지 지원: 75% 이하 대상자도 포함
- 청년·신혼 전세대출: 120% 이하 제한 적용
이 외에도 다양한 청년·복지·주거 지원사업이 중위소득 비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자신에게 해당하는 비율 기준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5. 중위소득 계산기 소개
인터넷에는 ‘중위소득 모의계산기’도 있어, 직접 나의 가구에 맞는 소득 기준을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 복지포털 및 복지민원센터에서 제공
- 엔젤시터·창원청년플랫폼 등 블로그 계열 사이트에서 자세한 계산표 제공
- 모바일 앱 형태의 중위소득 커뮤니티·정책 안내 채널 다수 운영 중
6. 요약 및 나에게 맞는 확인법 ✅
- 📌 중위소득 100% 금액은 가구원 수별로 다르며, 1인 가구는 2,392,013원부터 시작합니다.
- →2025년 기준은 4인 가구 기준 6,097,773원, 6인 가구는 8,064,805원입니다.
- 📈 2024년 대비 6.4% 상승해, 더 많은 가구가 복지 혜택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큽니다.
- 🧾 주거·교육·의료·생계 관련 복지 수급을 준비하고 있다면, 기준중위소득 100% 금액부터 절대 확인하세요.
내 가구가 어디에 해당하는지 모른다면?
👉 주민센터 또는 복지포털에서 “중위소득 모의계산기”를 활용해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